안녕하세요
미국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미국주식 , 국내주식 비트코인 등 모든 자산이
과도한 폭락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024년 8월 5일 첫째주 월요일인 오늘
코스피 200선물지수가 5프로 이상 급락하면서 오늘(5일) 프로그램매도호가 일시효력정지(사이드카)가
4년 4개월여 만에 발동했습니다.
위와 같은 내용을 기사로 확인 할수 있는데요
과연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는 무슨의미이고 어떤 상황에서 발동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서킷브레이커 (매매거래중단제도, Circuit Breakers) 란 무엇일까?

주가가 폭락했을 때 잠시 시장을 멈춰 혼란을 잠재우고 잠시 냉정한 판단을 할 시간을 두자는 취지로 도입된 제도입니다.
1987년 10월 19일 블랙 먼데이 사태 때
뉴욕증시 다우 지수가 2,200선에서 1,700선으로 약 22.6% 나 폭락하자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처음 도입되어 지금까지 사용되어오고 있는데요
서킷 브레이커 제도는
S&P 500 지수를 기준으로 총 3단계로 나뉘어 있습니다.
1단계는 S&P 500 지수가 7% 이상 하락하는 경우,
2단계는 오후 3시 25분 전에 13% 이상 하락하는 경우 발동됩니다. 1~2단계가 발동되면 15분 간 거래가 중단되고 이후 5분은 동시호가만 가능합니다.
3단계는 S&P 500 지수가 20% 이상 급락한 경우에 발동되며, 당일 거래는 완전히 중단됩니다.
2) 한국 주식 시장에서의 서킷브레이커의 발동
한국에는 외환위기로 주식 시장이 폭락하였을 때 1998년 서킷브레이커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번 서킷브레이커 발동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북한 리스크가 부각됐던 2016년 2월 12일 이후 4년 만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을 했습니다.
한국의 서킷브레이커 발동 조건은 미국과 조금 차이가 있는데요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 경우 1단계는 코스피 종합주가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8% 이상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 됩니다.
2단계는 전 거래일보다 15% 이상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됩니다.
1~2단계가 발동되면 20분 간 시장 전체 거래가 중단되며, 이후 10분은 동시호가에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3단계는 전 거래일보다 20% 이상 하락이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발동되며, 이 때는 당일 주식거래가 바로 종료가 됩니다.
사이드카 (프로그램 매매 호가호력 일시중지제도, Sidecar) 란 무엇일까?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이드카는 블랙 먼데이를 계기로 서킷브레이커와 같이 생긴 제도인데요.
선물시장의 급등락으로 현물시장의 가격이 급변하는 것을 막기 위한 가격 안정화 장치 라고 볼수 있습니다.
마치 경찰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가
혼란스러운 교통속에서 길을 안내하듯이
혼란스라운 선물시장이서 사고가 나지 않도록 안전하게 유도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한국에서의 사이드카 발동
한국에서 사이드카가 발동하는 조건은
선물 시장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은 선물의 가격이 코스피는 상하 5%, 코스닥은 상하 6% 이상 변동(상승 또는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되면 사이드카가 발동하여 5분 간 프로그램 매매를 차단을 합니다.
사이드카가 발동 후 5분이 지나면 거래가 자동으로 재개됩니다.
글을 마치며 ...

폭락하는 자본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분들이 혼란에 빠져 손실을 보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계좌에 손실을 본다고
공포에 질려 주식을 모두 손절하고 시장을 떠나시면 손실을 확정 짓는 것이니.

처음 투자를 시작하셨을 때 먹었던 마음 그대로 장기적으로 투자를 이루어 나가시기 바랍니다.
시간이 지나 이시기를 되돌아 보면
결국 작은 굴곡 이였구나 라고 생각할 날이 올거라 믿습니다.
현금이 있으신분들은 추가적으로 매수를 하고 버티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사이드카 , 서킷 브레이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모두 공포의 시기에 성공적인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사이드카주식 #서킷브레이커 #서킷브레이크 #국내주식 #해외주식 #미국주식 #사이드카 #코스피 #snp500 #비트코인